서울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서교연)이 ‘서울학생종단연구 2020 3차년도 결과분석 보고서’를 통해 최근 3년간 시내 초등학생들의 우울·불안 등 부정적 심리가 뚜렷하게 악화됐다는 결과를 전했다.
서교연은 중·고등학생이 유의미한 증가세를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정서적 불안정성만 커졌다며, 지나친 조기 사교육 열풍에 따른 학업 스트레스 증가, 스마트폰 사용 증가,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라 심리적 단절과 경제적 어려움 등이 주요인으로 분석했다.
결과에 따르면 시내 초등학생의 우울감은 1차 조사를 시작한 2021년 0.51점에서 2022년 0.66점, 2023년 0.73점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총 3점 만점 기준으로, 중학생이 2021년 0.61에선 2023년 0.74로 소폭 증가하고 인문계·직업계 고등학생에게선 유의미한 변화가 없는 것을 고려하면 초등학생의 우울감이 3년간 상대적으로 더 심해진 것이다.
‘불안’을 나타내는 심리적 특성도 초등학생만 증가했다. ‘과도한 걱정’ 1점만점 기준 지난 2021년 대비 0.14 증가해 지난 2023년 0.58, ‘예민함’은 지난 2021년 대비 0.08 증가한 지난 2023년 0.49, ‘부정적 정서’ 역시 지난 2021년 대비 0.09 증가해 지난 2023년 0.26으로 상승했다. 반면에 초등학생 외 중·고등 학생들은 감소세를 보이거나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이번 연구는 지난 2021년 초등학교 4학년이었던 학생들을 6학년이 될 때까지 추적한 종단 연구다. 지난 2023년 기준 시내 초등학생 5047명, 중학생 4814명, 고등학생 4725명이 참여했다.
연구 분석 과정에서 ‘사춘기 호르몬 변화에 의한 결과’의 요인도 무시할 수 없지만, 연구 책임을 맡은 황수영 서교연 연구위원은 “학업 스트레스 증가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사회적 고립감, 스마트폰 및 SNS 사용 시간의 증가 등 여러 이우가 배경이 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초등학생들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학교가 폐쇄됐다가 등교하면서 교우관계에 어려움을 겪은 데다, SNS를 통해 타인의 삶과 자신을 비교하기 시작하며 상대적 박탈감을 느꼈을 것이란 해석이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교육 과열도 원인으로 꼽혔다. 보고서는 “자아개념이 불완전하고, 목표의식이 뚜렷하지 않은 초등학교 고학년이 부모의 과도한 기대와 학습 요구 등을 받으며 더욱 심리적으로 취약해진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