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회원가입 | 뉴스스크랩 | 나의덧글
최종수정 25.04.11 10:36
   
사설월요포커스오피니언
뉴스 홈 사설/칼럼 오피니언 기사목록
 
[교육에 바란다] 교권‧ 평가방식 새로운 방향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제1차 온라인 기자설명회
기사입력 2025-04-04 오전 10:23:00 | 최종수정 2025-04-04 오전 10:23:27   

▲ 한국교육개발원 원장 고영선


한국교육개발원(원장 고영선, 사진)은 올해 첫 기자설명회를 지난달 27일 온라인으로 가지며 이 자리에서 교권, 학생평가에 관한 연구 결과를 담은 2종의 KEDI 브리프 보고서를 발표했다.

먼저 이동엽 연구위원이 생태학적 관점에서의 교권 현황과 개선 과제라는 주제로 교권 체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교육 주체, 학교, 외부 환경 등)로 구성된 교권 생태계 모형을 제시하고 학생학부모교사일반인 4개의 집단이 교권에 대한 긍정 동의 여부를 분석했다.

조사에 따르면, 모든 집단이 교사의 생활지도권, 신분보장권, 전문적 권위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교권 행사와 존중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이 낮았다. 특히 생활지도권과 전통적 권위의 긍정 동의 비율이 낮았으며,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에 대한 인식도 낮았다.

이 연구위원은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사회적 합의를 통한 교권 개념의 정립 생활지도권 및 전문적 권위 강화 혁신적 학교 문화 조성과 관리자 리더십 함양 등을 제시했다. 또한 교권을 다각적 시각에서 이해하고, 학생인권조례에서 규정한 학생 자유권 보장의 본질적 의미를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교권을 협소한 관점으로 고찰하면, 교권 문제를 침해하는 가해자침해받는 피해자라는 이분법적 시각으로 인식하는 실수를 범하게 된다, 특히 최근 논란이 불거진 교사 수업 녹음 및 CCTV 촬영 이슈에 대해선 이러한 것들이 교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라고 첨언했다.

이어 김주아 KEDI 선임연구위원이 미래교육 혁신을 위한 학생평가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우리나라 고등학교의 수업과 평가 사례, 우리나라 고등학교이면서도 다른 학생평가 체제를 적용하고 있는 IBDP 운영학교 사례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교의 수업과 평가를 결정하는 데 있어 외부평가가 강력한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내부평가(내신)에서는 절대평가와 상대평가가 공존하면서 평가의 목적으로 성장보다 변별이 중요하게 작용했다. 학생들은 수업과 평가에서 주체성을 발휘할 기회가 제한됐으며, 자신들이 하고 싶은 진짜 공부시험 공부사이에서 갈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학생평가는 아직도 선언적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학교의 수업과 평가를 결정하는 데 있어 외부평가가 강력한 요인으로 작용해 미래역량 함양이라는 교육 목적과 괴리가 일어나고 있다고 말하며 학생들의 성장에 초점을 둔 학생평가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편, KEDI는 오는 24일 제2KEDI 기자 온라인설명회를 개최하며. 이 자리에서 N수생 증가 실태와 원인 및 완화 방안, AI 시대에서의 인문학 성찰 등이 논의될 것이라 밝혔다.

조민주 기자
 
 
 
 
네티즌 의견
전체 0   아이디 작성일
 
 
[전재학 칼럼] 이제는 청소년과의 정치담론이 활성화돼야 한다
[교육광장] 그림 그리기를 망설이는 아이 도입 방법
오피니언 기사목록 보기
 
 (서울교육공동체) 미래여는 창의..
 24년 유난히 논쟁거리가 많았던 ..
 [전재학 칼럼]- ‘질문’과 ‘협..
 청소년 통합 지원체계 구축
 교육계 30대 돌풍.. 세대교체 이..
[전재학 칼럼] 이제는 청소년과..
尹 파면 국교위 중장기계획 차질
[교육광장] 교장이 교사가 될 때
[잠망경] ‘통일’ 학생‧..
예정처, 사학연금 고갈 우려
 
회사소개 광고/제휴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이메일수집거부 공지사항 구독신청 기사제보 독자투고 관련교육기관
 

[주간교육신문사] 04034  서울특별시 마포구 잔다리로7길16(서교동) 교평B/D 5층 Tel : (02)3142-3212~4 / Fax : (02)3142-6360  제호: 주간교육신문 등록번호:서울 아02648  등록일:2013년5월16일  간별: 주간     발행인 겸 편집인:이창호    청소년보호책임자:공춘식
총무국, 편집국(신문, 평론) 02-3142-3212 ~4

Copyright(c)2025 주간교육신문사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