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을 한달 여정도 앞두고 교육부는 지난 3일 '2021학년도 수능 시행 원활화 대책'을 발표했다. 수능 응시자들은 벌써부터 각자 마스크를 쓰고 시험지를 풀어보는 등 학원, 유튜브, SNS를 통해 수능과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고 불가피한 상황들에 대한 대비에 나섰다.
정부와 학교들은 수능 준비에 만전을 기하는 등 바짝 긴장해 있는 모습이다. 그러나 사각지대는 여전히 존재했다.
논술, 적성 고사와 같은 대입전형에선 자가격리자 수험생이 평가에 참여했으나 실기고사를 진행하는 일부 대입전형에선 격리된 수험생들이 시험을 보지 못한 경우가 발생한 것이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달 '2021학년도 대입관리계획'을 발표하고 각 대학이 권역별 별도 시험장을 마련해 자가격리 수험생에게 대학별 평가 응시 기회를 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설상가상 최근 학교와 학원에서 학생 간, 학생과 교직원 간 접촉해 확진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서울에서는 지난달 29일 종로구 예술고등학교 학생 한 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지난 1일까지 이 학생이 다니던 음악연습실을 이용하던 예술계열 학생들 등 총 10명이 확진됐다. 경기 포천과 성남, 전남 함평에서는 교내 감염이 발생했으며 경기 부천에서는 발레학원에서 초등학생 13명이 감염됐다.
교육계와 수험생 커뮤니티 등에 따르면 고3 학생들이 자가격리 대상자가 되면서 실기와 면접 등 대학별평가에 응시하지 못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교육부가 자가격리자들의 대학별평가 응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권역별로 고사장을 운영한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대부분 대학은 감염 가능성과 공정성 우려 등을 이유로 호소하며 대학별평가에서 자가격리자의 응시를 제한하고 있다.
교육계 한 관계자는 “학생들이 ‘자가격리 시 대학별평가에 응시할 수 없다’는 대학 측 안내에 동의해야 수시모집에 지원할 수 있는 탓에 응시가 제한돼도 호소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심지어 이들은 수도권 지역의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유지하던 기간,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학원의 운영이 금지돼 수험생인 아들이 실기시험을 제대로 준비하지도 못해 울상을 지었다.
수도권 지역의 일반고 학생만 2주 동안 실기시험 준비에 사실상 손을 놓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서울·경기·인천을 제외한 다른 지역의 학생들은 학원에서 실기시험을 준비할 수 있었고, 교육부가 고3 학생들에 한해 등교를 허용하면서 같은 수도권 지역이라도 예술고에 재학중인 수험생들은 학교에서 실기 수업을 통해 시험 준비가 가능했다.
예체능 및 논술을 준비한 학생들은 그 준비해 온 기간과 비용이 막대하다. 입시를 위해 긴 시간 달려온 이들에게 코로나19 확산은 청천벽력 같았을 것이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정부에서 이들을 위한 대책을 뒤로 미뤄두었다는 것이다. 수시 1차는 이미 끝나가고 있지만 학생들이 그간 쌓아온 실력을 선보일 수 있도록 지금이라도 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대학에만 책임을 미룰 것이 아니라 확실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