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갖가지 논란을 낳았다. 시험문제의 타당성에 대한 이의제기가 역대 최고수준을 기록했고, 문제가 너무 어려워 학교공부만으로는 대비하기 불가능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채점 결과에서도 체감 난이도가 높았음이 그대로 드러났다.
출제오류는 없었다고 하지만, 아무래도 개운하지는 않다. 이 때문에 성기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도 학생과 학부모에게 사과의 뜻을 밝혔다.
사태는 사과만으로 끝날 것 같지 않다. 일부 교육단체는 “올해 수능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거치는 것만으로는 대비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고 정면 비판했다. 수능시험이 ‘공교육 정상화’를 가로막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리고 ‘킬러 문항’을 지목하기도 했다. 고교 교육과정 수준을 벗어난 문항이기에 사교육을 찾게 만들어 입시부담을 늘린다는 것이다.
이 단체는 법적 대응방침까지 밝혔다. 아마도 손해배상 소송을 낼 것이라는 보도도 나왔다.
비판하는 데 그치지 않고 소송까지 내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판단을 유보하겠다. 그렇지만 해마다 되풀이되는 수능시험 출제논란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없는지 묻고 싶다.
수능시험의 난이도 논란 해소방안이나 출제개선 방안은 지금까지 많은 전문가들이 제기해 왔다. 절대평가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 문제은행식 출제를 해야 한다는 의견, 논술형으로 바꿔야 한다는 제안 등 다양하다.
현직교사를 출제위원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요구도 적지 않다. 그러나 여러가지 난점 때문에 이런 방안들은 채택되지 않고 현재와 같은 수능시험이 계속되고 있다. 논란도 해마다 형태만 다를 뿐 끊임없이 일어난다.
현재 형태의 수능시험을 유지한다면 최소한 난이도만이라도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해야 한다. 어려운 문제와 쉬운 문제가 적절한 비율로 섞여 변별력이 유지되는 것은 필요하지만, 정상적인 교육과정 수준을 넘는 문항이 출제되면 곤란한 일이다.
그러므로 이제 교육부와 교육과정평가원은 수능문제 출제방식 개선을 진지하게 모색해야 한다. 이는 수능체제 개편 여부 못지않게 중요한 일이다.
수능시험은 대학입시에서는 여전히 가장 중요한 전형요소이다. 다시는 출제난이도를 둘러싼 논란이 더는 나오지 않도록 근본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