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은 지난 14일, 학교구성원 모두가 행복한 학교문화 조성을 위한 ‘교실 속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지난 10여 년간 시교육청이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긍정적행동지원(PBS)를 실행해 온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2022년 11월 좋은교사운동과 공동토론회를 통해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도 어려움에 대한 공론화를 시작해 일반학교로 적용·확산 가능성을 논의했다. PBS란 학생의 문제를 발견하고, 문제행동의 동기를 찾으며, 행동중재계획을 수립·수행하고 결과를 평가하여 학생의 더 나은 행동을 가르치는 과정으로, 지난해 시교육청-좋은교사운동-현장교사가 함께 참여한 시범운영 사례를 통해 일반교실 현장에서 효과성을 확인했다.
특히, 다층적 예방 체계라는 큰 틀 안에 기존의 생활지도 및 심리정서 분야의 정책을 포괄한 연속적 지원방안을 마련했다. “예방적 지원·전문적 지원·집중적·개별적 지원”의 지원체계를 구현해 정서위기학생의 문제를 예방하는 것과 더불어 학부모 지원방안도 제시한다.
‘예방적 지원’ 단계는 모든 학생들에게 적용가능한 보편적 지원방안으로, 서울PBS홈페이지 온라인 상담창구 운영, 교원Wee자문단 운영, 마음EASY선별검사와 관계가꿈 프로젝트 등을 통해 선생님이 학생의 행동을 관찰하고 문제행동을 예방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교실 속 문제행동 지도 가이드북’은 동영상 제작을 거쳐 학교 현장에 보급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초등 교원 및 전문직 직무연수를 실시한다.
‘전문적 지원’은 일상적 생활지도에도 문제행동을 보인다면 행동이 심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문가가 학교 현장을 직접 지원하는 단계이다. 전문상담기관을 연계한 위(Wee)클래스, 관계조정 전문가가 지원하는 학교폭력 피·가해학생 관계조정 프로그램 등이 있다. 이번에 새로 시도되는 교실 속 PBS 현장지원은 문제행동 예방과 대응을 위해 행동중재전문가가 학교를 방문해 교실 장면을 직접 관찰해 학생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행동중재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도록 교사를 지원한다. 더불어 장기적으로 외부의 전문가가 아닌 학교 안에서 자체적으로 문제해결할 힘을 기를 수 있도록 행동중재전문교사 및 PBS 전문가를 양성한다.
‘집중적·개별적 지원’은 학교생활에서의 어려움이 복합적이거나 심각하게 반복될 경우 분야별 전문가 팀이 개입하는 단계로, 담임교사 협력에 기반한 학생 맞춤 집중지원을 위한 전문가 중재팀을 구성하여 지원한다. 심각한 문제행동 학생에 대해서는 PBS 사업을 통해 담임교사 협력에 기반한 집중적·개별적 지원을 실시한다. 마음건강 전문가 학교방문 사업을 통해서는 전문가 심층 평가 후 필요시 병의원을 연계해 치료비를 지원한다.
조희연 교육감은, “교실 속 정서행동 위기학생에 대한 다각적 지원은 건강한 학생, 학교 그리고 교육공동체를 위한 정책이 될 것이다”라며, “교사, 행동중재전문가 등 교육 구성원의 협력을 통한 학생 문제행동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교육환경을 개선하여 학생 한 명 한 명이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