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교육감 조희연)은 한·일 관계를 평화와 공존의 관계로 풀어갈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을 공동 모색하기 위해 재일한국인 시민인권단체인 ‘코리아NGO’와 협력해 한·일 교원 교류를 추진한다.
이에 한·일 교원 30명(각 15명씩)은 지난 12~13일 서울에서 한·일 갈등의 평화적 해법을 위해 모였다.
시교육청은 참가 신청한 한국 초·중·고 교원 중에 한·일 관련 수업이나 민주시민교육 경험이 많고 향후 관련 수업 실천에 적극적 의지가 있는 교사들을 선정, ‘코리아NGO’는 한·일 우호 증진에 관심이 많은 일본 교원들을 선정했다.
지난 12일에는 특강 및 수업교류회가 열렸다. ‘한·일 갈등의 근본 원인과 미래지향적 발전 과제’를 주제로 근·현대 한·일관계, 독도 영유권 문제 등의 전문가인 호사카유지 교수의 강연이 실시됐다.
특강 후 열린 수업교류회에서는 한·일 관계 관련 수업 나눔 및 발표를 통해 양국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수업 실천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한·일 관계 관련 수업 사례’, ‘한·일 관련 수업 실행의 어려운 점’, ‘한·일 관련 수업 활성화를 위해 개선해야 할 제도(지침)’ 등에 대해 논의·발표하고 전체 토론을 진행했다.
시교육청이 추진하고 있는 ‘사회현안(한·일 관계) 논쟁형 토론 수업’을 일본 교원들에게 소개하며 이러한 수업이 일본에 적용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지난 13일에는 식민지역사박물관 방문 및 해설 강의를 통해 양국은 한·일 관계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관람 후 최호근 교수의 ‘한·일 관계 쟁점과 해법’에 대한 특강을 들으며 ‘한·일 갈등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교육방안’에 대해 좌담회를 열었다.
특강 후 열린 좌담회는 관객 소통형으로 이뤄졌다. 이외에도 전쟁과 여성인권박물관, 민주인권기념관을 방문해 보편적 인권 관점에서 한·일간 역사의 비극적 순간들을 재조명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한·일 관계가 악화되는 상황에서 그 배경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 평화적 해결을 모색하는 교육적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며 “한·일 교원 교류 사업이 한·일 교원 네트워크 구축의 발판이 되고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교육적 노력의 마중물이 돼, 평화와 공존을 지향하는 교육이 한·일 양국에 동심원처럼 퍼져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