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인 교육대학교와 대학 초등교육과에서 지난해 700명에 가까운 학생들이 자퇴 등 중도 탈락한 것으로 나타나.
지난 2일 종로학원이 대학알리미 공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작년 전국 10개 교대와 3개 초등교육과에서 667명의 중도 탈락 학생이 발생. 중도 탈락 사유에는 자퇴, 미등록, 미복학, 학사 경고 등이 포함된다. 보통 자퇴가 대부분을 차지. 중도 탈락은 전년(496명)과 비교해 34.5%나 늘어.
지난해 전국 10개 교대에선 621명, 3개 초등교육과에선 46명이 각각 중도 탈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도권 지역 교대인 서울교대에선 96명, 경인교대에선 102명이 중도 탈락하는 등 모두 198명이 중도 탈락. 전년 대비 증가율은 서울교대의 경우 15.7%, 경인교대는 43.7%에 달해.
지방권 교대 8개대에선 423명이 중도 탈락. 부산교대의 중도 탈락이 67명으로 가장 많았고, 공주교대와 청주교대, 전주교대(각 57명), 대구교대(55명), 춘천교대(48명), 광주교대(47명), 진주교대(35명) 순으로 집계. 지방권 교대 8곳 중에선 춘천교대를 제외한 나머지 7개의 중도 탈락이 전년보다 증가.
증가율은 부산교대의 경우 71.8%에 이르렀고, 진주교대(40.0%↑), 공주교대(32.6%↑), 전주교대(32.6%↑), 대구교대(31.0%↑), 광주교대(30.6%↑) 등 7곳 중 6곳이 30%를 넘어. 증가율이 가장 작은 청주교대의 경우는 29.5%로, 30%를 소폭 밑돌아.
초등교육과의 경우, 한국교원대에선 30명, 제주대 14명, 이화여대 2명의 중도 탈락자가 발생. 특히 한국교원대의 중도 탈락자 증가율은 275%, 이화여대는 100%에 달하며, 제주대는 55.6% 증가한 것으로 집계.
2025년 신입생 모집정원 대비 지난해 중도 탈락자를 보면, 수도권 2개 교대에서는 모집정원 대비 23.6%, 지방권 교대는 18.3%, 3개 초등교육과는 19.4%에 해당하는 규모로 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