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디지털교과서를 교육자료로 격하하는 내용의 초중등교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상정을 앞두고 교육계가 둘로 갈라졌다. 전교조 등 진보교육계는 AIDT를 교육자료로 규정해 학교가 자율적으로 선택하자는 입장인 반면 교총은 교과서 지위를 유지하되 1년간 유예하자는 교육부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교총은 지난 24일 입장문을 내고 “2025년에는 검정 통과한 AI디지털 교과서를 당초 계획대로 도입하지 말고, 시도교육청과 학교가 자율적으로 사용해 효과‧부작용 검증 후 정책 보완‧개선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즉 교육부가 제시한 것처럼 AIDT에 교과서 지위를 부여하되 시행을 1년 유예하는 것에 찬성한다는 입장이다. 교총은 “이미 AI디지털 교과서 개발 및 교과서 검정, 교사 연수,인프라 구축, 각 학교 별 교과서 채택 등 적용을 앞둔 상황에서 갑자기 교육자료로 전환된다면 국가 정책 신뢰 상실은 물론 막대한 매몰 비용 발생, 그리고 무엇보다 시도교육청의 입장 차 등에 따른 학교 현장 혼란이 우려된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반면 전교조는 AIDT를 교과서로 인정하는 것에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전교조는 지난 17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가 AIDT를 교과서가 아닌 교육 자료로 규정해, 활용 여부를 학교에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을 통과시킨 것에 환영 논평을 냈다. 전교조는 “교육부가 졸속 추진· 천문학적 예산 낭비 논란에도 전국 모든 학교에 AI 디지털교과서 구매를 강제하려 한 시도를 봉쇄한 것으로, 학교 현장 요구에 부합한 법안 개정”이라는 입장을 발표했다. 전교조는 “지난 3일 공개된 AI 디지털교과서 전시본은 차마 세계 최초라고 말하기에도, AI기능이 탑재되었다고 선전하기에도 민망한 수준”이라고 혹평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 활용하던 e학습터, 에듀넷, 위두랑 등의 학습용 사이트와도 별 차이를 느끼지 못할 정도로 기존 교육용 프로그램을 답습한 기능이 대부분이며, 그저 정해진 문제들이 순차적으로 제시되는 온라인 문제집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교사노조연맹 역시 공식 입장은 나오지 않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AIDT의 교과서 지위 인정에 부정적이다. 한 관계자는 익명을 전제로 “현장 교사 대부분이 AIDT에 부정적인 것으로 안다”며 “교과서가 아닌 교육자료로 정해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실정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