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에 대비하기 위해 교육당국도 발빠른 대처에 나섰다. 교육부는 감염증 발생지인 중국 후베이 지역을 다녀온 학생과 교직원은 증상이 없어도 잠복기를 고려해 2주간 자가격리토록 했으며, 그 기간은 출석으로 인정된다. 또한 대학에 대해서도 해당 지역을 방문한 학생, 중국 유학생, 교원을 파악하고 단체 행사를 자제토록 했다.
이 같은 결정은 질병관리본부가 감염병 위기경보를 ‘주의단계’에서 ‘경계단계’로 격상함에 따라 마련됐다. 교육부는 지난달 27일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20일부터 운영한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예방대책반’을 확대 재편해 시도교육청 및 대학 등 각급학교에 대응지침을 전파했다.
이에 따라 중국 후베이 지역을 다녀온 학생‧교직원 중 의심증상자는 즉시 관할 보건소나 질병관리본부에 신고(1339)하고, 무증상자라 하더라도 1월 13일 이후(14일 잠복기 고려) 중국 후베이 지역에서 귀국한 유·초·중·고 및 대학의 교직원과 학생에 대해 귀국일을 기준으로 14일간 자가격리(격리기간 출석인정)하도록 요청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지역사회 전파에 대한 학부모의 우려를 감안해 개학을 연기하는 방안도 고려했으나, 28일 열린 관계장관회의에서 현재 지역사회 내 감염이 발생하지 않았고, 범정부적인 방역체계 강화를 추진하는 상황을 감안해 학교운영을 정상화하기로 했다.
이어 부교육감 회의에서는 학교현장의 감염병 예방교육 및 방역 지원, 교육기관 대응태세 점검, 보건당국 등 유관기관과 협조체계 유지 등 대응체계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29일 열린 대학 관계자 회의에서 유은혜 장관은 대학별로 중국 후베이성 지역을 방문했던 학생, 중국인 유학생 및 교직원에 대한 전체 현황을 파악해 제출하며, 이들 역시 14일간 자가격리토록 했다.
특히, 감염증 발생지인 우한 지역의 학생들은 한국 입국이 불가능한 상황임에 따라, 각 대학은 수업감축 등 학사일정 조정을 준비하고 이를 해당 학생들에게 신속하게 공지토록 했다.
아울러 국제관과 기숙사를 중심으로 한 방역조치, 중국을 경유한 모든 내외국인 학생·교직원에 대한 발열체크 등 기본적인 예방조치를 하고, 졸업식, OT, 수련회 등 집단 행사는 자제, 연기 또는 철회할 것을 당부했다.
이 외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BK21 지원 중단, 국가장학금 신청 기간이 지나는 등의 문제가 제기되자 교육부는 해당 부서의 행정적 검토를 통해 해결방안을 마련하고, 또한 대학들이 필요로 하는 행‧재정적 지원도 할 방침이다.